100만 명이 넘는 이주민이 한국 내에 거주하고 있고 이와 맞물려 한국사회는 고령 사회로 접어들고 있다. 사회적 환경의 변화로 인해 출산율이 저하되고 있고 이로 인해 경제활동 인구의 감소를 불러왔다. 이와 같은 상황이 현재 한국사회의 현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한국사회는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활동의 주체적 역할을 담당하며 한국사회와 불가분의 관계를 설정하고 있는 이주노동자와 이주민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사회 분위기에 따라 부침(浮沈)을 거듭하고 있을 뿐이다. 본 책은 한국사회에서 주변부의 문제로 인식되었던 이주노동자의 생활실태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이론적으로 해석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집필되었다.
저자 : 임선일 성공회대학교 노동사연구소 연구위원이다.
머리말 01 서 론 1. 왜 이주노동자의 문화변용 연구인가? 2. 구로지역의 중국동포, 마석공단의 이주노동자 3. 연구의 범위와 구성 02 문화변용 이론과 선행연구 1. 문화변용 이론과 이주노동자 현황 2. 문화변용에 관한 선행이론 3. 문화변용 이론의 재구조화 4. 한국의 이주노동자 선행연구 03 이주노동자의 인적 속성과 생활세계 1. 한국계 2. 비한국계 3. 국내 정착 과정의 진행과 실태 4. 소결 04 국내 적응과정의 문화적 변수들과 에스니시티 변형 1. 문화적 변수의 차원에 관한 고려 2. 한국계의 생활세계와 문화적 변수 3. 비한국계의 생활세계와 문화적 변수 4. 에스니시티 변형에 따른 이주노동자의 유형 분류 5. 소결 05 이주노동자의 문화변용 유형화와 전략 1. 한국계 이주노동자의 문화변용 2. 비한국계 이주노동자의 문화변용 3. 에스니시티 변형수준에 따른 문화변용 전략과 궤적 4. 이주노동자의 문화변용과 한국사회 5. 소결 06 결 론 참고문헌 부록 1-설문지 부록 2-국적법 시행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