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 역사학자이자 박물관 마니아의 백제 역사 여행기. 역사 여행도 동네 산책처럼 친숙하고, 영화관 가듯 쉽고 흥미롭게 접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역사 여행의 새로운 제안이자 참신한 접근의 입문서다.
저자의 백제 여행은 우연히 시작된다. 아점을 먹은 후 머리나 식힐 겸 집을 나와 정처 없이 버스를 기다린다. 사당으로 가는 버스가 먼저 오면 국립중앙박물관으로 가고, 잠실행이 먼저 오면 한성백제박물관으로 가는 거다. 운명적으로 잠실 버스가 먼저 도착하면서 백제 역사 여행은 시작된다.
일상적으로 늘 해왔던 산책 같은 여행은 마음 끌리는 대로 움직이지만 내용은 진지하고 사뭇 깊다. 그동안 빈약한 배경 지식 탓에 깊이 음미할 수 없었던 백제 유물 유적의 가치에 눈을 트이게 해주고, 왜 백제의 유물이 뛰어나게 예술적이고 아름다운지 그 수수께끼를 발품으로 이룬 마니아 특유의 통찰력으로 풀어준다.
저자 황윤은 <박물관 보는 법> <김유신 말의 목을 베다>의 저자로 특히 삼국시대를 좋아해 유적지는 물론 박물관을 수없이 다니고, 탐구하고, 상상해온 국내 최초 덕후 출신 박물관 전문가이자 소장 역사학자다.
작가. 소장 역사학자이자 박물관 마니아.
혼자 박물관과 유적지를 찾아 감상·고증·공부하는 것이 휴식이자 큰 즐거움이다. 대학에서는 법을 공부했다.
유물과 미술 작품에 대한 높은 안목으로 고미술에서부터 현대미술까지 관련 일을 하며 집필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역사 교양을 대중화하고자 글을 쓴다. 삼국 시대와 신라에 특히 관심이 많다.
《일상이 고고학, 나 혼자 경주 여행》, 《일상이 고고학, 나 혼자 백제 여행》, 《김유신 말의 목을 베다》, 《박물관 보는 법》, 《도자기로 본 세계사》를 썼다.
프롤로그 ―― 5
1. 한성백제를 찾아서
풍납토성 / 경당역사문화공원 /풍납백제문화공원
빌라 아래 백제 왕국이 있다 ―― 15
백제 초기의 성과 건물은 어떻게 생겼나 ―― 20
삼국사기보다 일본서기에 더 잘 묘사된 근초고왕 ―― 28
고급 문화를 이룬 백제의 비하인드 스토리 ―― 33
2. 한성백제박물관
몽촌역사관 / 한성백제박물관
몽촌역사관에서 백제의 민가를 확인한다 ―― 43
성을 쌓아올린 기술 ―― 48
백제가 이웃 나라에 하사한 물건들 ―― 52
한성백제 최고의 아이템, 금동관과 금동신발 ―― 59
3. 서울에도 고분이 있네
방이동 고분 / 석촌동 고분
불구대천의 원수가 된 백제와 고구려 ―― 69
방이동 고분은 백제, 신라 누구의 것인가 ―― 73
83세 장수왕이 백제와의 전쟁을 직접 지휘한 까닭 ―― 78
290기 중 8기만 남기고 사라져버린 석촌동 고분―― 82
4. 무령왕릉
수촌리 고분 / 송산리 고분 / 국립공주박물관
수촌리 고분에서 발굴된 유물의 의미―― 93
무령왕 내외가 사후 27개월 뒤에 합장한 까닭 ―― 97
무령왕 이전 무려 세 명의 왕이 암살되었다―― 104
유일하게 임무를 다한 무령왕릉의 진묘수 ―― 108
무령왕은 천수를 다했을까 ―― 112
5. 부여로 가자
대통사 / 관북리 유적 / 국립부여박물관
대통사는 실존하는 최초의 사찰이다 ―― 119
왜 이곳에 사찰이 지어진 것일까 ―― 123
공주에서 부여로 천도한 까닭은 ―― 126
주춧돌 등장! 기와로 수를 놓은 관북리 유적―― 130
한강 수복했다가 다시 빼앗기는 성왕 ―― 135
인생에 한 번은 꼭 만나야 하는 백제금동대향로―― 141
6. 정림사지
정림사지 5층 석탑
부여에서 1박 ―― 149
여전히 비밀이 많은 국보, 정림사지 5층 석탑―― 153
정림사지 가는 길에 있는 백제 가마터 ―― 159
석탑, 혁명적인 디자인 ―― 165
7. 익산의 백제
미륵사 / 왕궁리 5층 석탑
유네스코 백제역사유적지구 ―― 179
서동요의 주인공, 무왕과 익산 미륵사 ―― 184
미륵사지 석탑의 위용 ―― 191
왕궁리 유적의 신묘한 이야기 ―― 198
백제 탑 안에 통일신라 불상이 어떻게 들어 있나 ―― 203
에필로그
백제는 우리에게 어떤 나라였을까 ―― 213
참고문헌 ―― 219